안녕하세요. 완전 모유수유를 하기로 마음먹은 뒤로 여기저기 정보를 찾아봤지만 감이 잡히지 않더라고요. 개인적으로 엄청 헤매면서 모유수유에 적응할 수 있었고 직접 경험해 본 바를 공유해드리고자 합니다. 혼자만의 외로운 싸움이 되기도 하지만 여기서 버티면 두 손 가볍게 외출도 가능하고 분유 설거지에서 자유로워질 수 있다는 점!
1. 모유 나오는 시기
- 모유는 언제 나오나요? 애기 낳고 3-5일 뒤에 일반적으로 모유가 나온다고 합니다. 저도 3-4일 만에 나왔구요!
- 아이는 태어나자마자 배고파서 어떻게 하죠? 일반적으로 병원에서 분유를 먹입니다. 모유가 나올 때까지요. 영국의 경우 아기를 낳자마자 젖을 빨게 하여 빨리 젖이 돌게 하는데요. 애가 열심히 빨아도 젖이 초반 며칠은 안 나오기 때문에 액체 분유를 먹입니다. (대신 *콜로스트럼이 나오기도 하기 때문에 분유를 먹이기 전 꼭 젖을 빨게 합니다)
* 콜로스트럼 임신 37주부터 출산 후 5일 전까지 콜로스트럼 (아래 사진 참고) 이 소량으로 나오는데 이게 엄청난 영양분 액기스라고 합니다. 임신 37주 이후부터 나올 수 있는데 손으로 유두 주변을 압박해 살짝살짝 짜내어 주사기 형태의 보관함에 보관했다가 출산 후 아기 입 속에 넣어 먹입니다. <-영국의 경우
분유 먹이기 전 꼭 젖을 빨게 해야 젖이 빨리 돈다!
임신 막달 콜로스트럼이 나온다면 저장해 보자! (저는 개인적으로 안 나와서 포기했습니다.)
출산 후 3-5일은 젖이 안 나오니 분유 먹인다고 생각하자!
2. 유두의 출혈 및 갈라짐
- 유두에서 피가 나고 너무 아프고 갈라지고 난리 났어요!
아기가 세게 빨거나 유두 피부층이 약하다면 피가 나고 갈리질 수 있어요.
이때 우리가 할 수 있는 건 인내심... 유두크림을 바르며 반나절에서 하루 정도 젖을 물리는 걸 포기합니다.
그래도 출산 후 가슴을 계속 자극해야 젖이 돌기 때문에 물리지 않아도 유축기를 사용해서 계속 가슴에 자극을 주세요.
유두에 딱지가 생기고 금방 또 벗겨지면서 새살이 돋습니다. ㅎㅎ (딱지 생기고 조금 괜찮아졌을 때 전 그냥 물렸습니다)
그럼 계속 또 물려주세요. 유두는 점점 무감각해지게 되어 있습니다.
너무 아프면 유두보호기를 사용하여 수유했습니다. 하지만 유두보호기를 오래 사용하면 젖병 혼돈하듯 유두와 혼돈이 온다 하여 유두가 회복되면 바로 보호기 안 쓰고 물렸습니다.
시간이 지나면 괜찮아져요.. 존버만이 답입니다..
3. 수유 텀
- 얼마나 자주 먹여야 하나요?
애가 울고 배고파하면 물려야 했습니다. 초반 5-6주까지는 1시간마다 먹였고 초반의 엄마의 모유 양이 충분하지 않다 보니 아기도 금방 배고파했습니다. 애기 배도 처음엔 작으니깐 금방 꺼지더라고요!
6주가 넘어가면서 텀이 2-3시간으로 늘어났어요. 그렇게 점점 아기가 자라면서 빠는 힘이 생기다보니 텀은 점점 늘어난다고 합니다.
- 젖양이 부족할 경우엔
1) 초반엔 유축기로 젖양 늘리기
2) 수분보충 (물 많이 마시기!)
3) 모유수유하며 가슴마사지하기
4) 아기에게 계속 빨게 하기
전 초반 2주 까진 유축기로 빨리 젖양을 늘리려고 했지만, 대부분의 시간 아기가 젖을 빠는 통에 유축기를 쓸 시간이 없어 그냥 빨게만 했습니다. 아기가 계속 빨아줘야 아기가 필요한 만큼 젖양이 자연스럽게 생성된다고 합니다.
(내내 물렸는데 애기가 더 자주 울고 배고파하는데 젖이 빈 것 같은 경우)
그럴 땐 하루에 한두 번 분유를 수유했습니다. 애기가 만족하는 양을 먹이면 좀 길게 자기도 하고 쉬는 텀이 더 생기게 됩니다. (저는 저녁 때 분유를 먹였습니다. 밤에 좀 더 길게 자도록 ㅎㅎ)
6-7주가 넘어가면서 젖이 더 잘 돌고 양이 많아지면 아기가 원하는 만큼 줄 수 있기 때문에 분유 횟수를 줄이며 100% 모유수유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 젖양이 많을 경우엔 (젖몸살 주의 feat. 유축기)
젖양이 많으면 젖몸살이 오기가 쉽습니다. 이땐 젖양을 줄여야 하는데요.
가장 중요한 건 아기가 먹는 양 이상의 모유를 생성하지 않도록 하는 것입니다.
*직수를 한다면
추가적으로 유축기를 사용하지 않고 애기한테 직접 물리다 보면 젖양이 맞춰집니다.
*유축을 한다면
3시간 텀으로 꼬박꼬박 합니다. 텀을 빼먹으면 모유가 과도하게 생성되어 젖몸살이 올 수 있습니다.
젖은 자연스럽게 아이와 양을 맞춰지게 신체 사이클이 되어있기 때문에 추가적인 생성은 하지 않도록 해야 젖몸살을 피할 수 있습니다.
- 젖몸살이 왔을 때
모유 양이 과하게 많아지만 젖몸살이 올 수 있습니다.
밤에 분유를 2번 먹이고 그대로 잤더니 저도 젖몸살이 왔었습니다. 이래서 혼합으로 할 때 연속해서 분유를 먹이는 건 비추...
젖몸살이 오고 나면 젖도 아프고 몸도 몸살기처럼 으스스하고 온몸이 아픈데요. 젖을 빼내야 그 고통에서 빠져나올 수 있습니다. 저는 무조건 애기한테 열심히 물렸습니다. 그랬더니 하루 만에 회복!
4. 한번 수유할 때 얼마나 물려야 하나요?
한쪽에 가슴을 15분씩 양쪽 30분을 한 텀으로 생각하면 되지만..
초반엔 그렇지 못했습니다. 한 젖에 거의 30분씩 먹였던 것 같아요 ㅠㅠ 아기가 잘 빨지 못하기 때문에 시간이 더 필요했던 것 같습니다.
저의 경우,
7주정도 되니 아기가 알아서 유두를 잘 물고 힘도 생겨서 한번 먹을 때 15분 양쪽 가슴 총 30분이 한텀이었고
10주정도 되니 모유 양이 잘 맞춰져서 한텀에 한쪽 가슴 15분만 먹이면 되었습니다.
정말 모유는 존버인 것 같아요 ㅎㅎ
5. 전유와 후유
전유와 후유가 뭐죵?
유축한 모유로 보면 알 수 있듯이 모유는 위로 갈수록 지방이 많이 포함되어 하얘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모유가 나올 때 아래 세 단계로 나옵니다.
투명에 가까운 액체 (전유) -> 하얀 액체 (후유) -> 크리미 한 농도의 액체 (후유)
한번 먹일 때 이 세 가지 단계를 다 먹여야 좋다고 합니다. 애피타이저 / 메인/ 디저트로 생각하면 된다고 합니다.
그래서 한쪽 젖을 먹일 때 아기 입에서 떼고 유두를 짜서 지금 어느 단계의 모유를 먹고 있는지 체크했습니다.
혹시 크리미 한 액체까지 아직 애기가 먹지 못했다면 다른 쪽으로 안 넘기고 계속 먹여 충분히 3단계를 먹을 수 있게 했습니다.
한쪽 가슴 15분에 집착하지 않고 3단계를 다 먹이고 있는지 확인이 중요합니다.
5. 모유수유 아가의 변
모유수유 아가의 변은 묽나요? 액체에 가깝고 처음엔 살짝살짝 씨앗같은 건더기가 있는 형태입니다.
분유 먹는 아기보다 더 묽다고 합니다.
얼마나 자주 쌌나요? 아기에 따라 다르겠지만 변을 더 자주 보기도 하고, 더 안 보기도 한다는데 저희 아기는 정말 9주 까지는 8-9번은 변을 본 것 같습니다.
(왜 아기가 자꾸 똥을 많이 싸는지 고민했는데 초반엔 괄약근이 발달되지 않아 방귀를 뀌다가 똥을 지린다고 합니다..)
6. 적응 후 모유의 장점과 단점
- 장점 (직수일 경우)
언제 어디서나 빠르게 먹일 수 있다
짐이 가볍다
설거지를 안 해도 된다
분유값 세이브
-단점
아침에 젖이 많기 때문에 자고 일어나면 티셔츠가 젖기도 한다
아기가 배고프면 가슴에서 젖이 뿜어져 나온다. (가슴 패드 필수)
지금까지 모유수유에 대한 정보를 총정리해 봤고 직수 위주의 방법으로 말씀드려 보았습니다. 모유수유는 초반에 가장 힘든 시기를 겪는 것 같습니다. 모두들 파이팅 하시기 바라며 !!
신생아 여드름 자연 치유 방법 (0) | 2023.07.22 |
---|---|
임신 후기 증상 및 몸무게 변화 (30주~ 35주) 막달 직전까지 (1) | 2023.03.05 |
출산 준비물 리스트 관련 영단어_ 해외 예비맘 필수 (0) | 2023.02.21 |
임신 출산 관련 영어단어 _해외출산 예비맘 필수 (0) | 2023.02.03 |
임신어플 - 임신 기간 쓸모 있던 앱 모음 (어플 별 기능 소개- 베이비빌리 외 4가지) (2) | 2023.01.26 |